필리핀 교육

[한국어 교육과정] 필리핀 주요 대학별 교육 현황과 전망

필리핀 AI 2025. 5. 3. 22:38
반응형
SMALL

"필리핀 주요 대학의 한국어 강좌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교환학생 및 취업 정보를 한눈에 제공합니다.
K-Pop과 K-컬쳐에 관심 있는 필리핀 학생들의 지원을 위한 우리 정부 및 민간단체의 관심도 절실합니다."


K컬쳐의 파급효과로 필리핀의 주요 대학교들은 한국어 강좌를 개설하여 운영중에 있습니다.
각 대학별 한국어 강좌 프로그램   및 효과, 문제점, 개선방안 등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 **주요 대학교 및 한국어 프로그램**

####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UP Diliman)**


- **프로그램**: Asian Languages and Cultures
  Department에서 **Korean Studies 전공** 제공.

- **커리큘럼**: 초급(한글, 기초 문법), 중급(회화, 독해),
  고급(문학, 역사) 수준으로 구성. 한국어 능력시험
  (TOPIK) 준비 과정 포함.

- **특징**: 한국학중앙연구원(KF)과 협력해 장학금 및
  교환학생 프로그램 운영.

필리핀 한국학회 심포지엄 2024



#### **De La Salle University (DLSU)**

- **프로그램**: International Studies 학부 내
  **Korean Studies Track**.

- **커리큘럼**: 한국어 기초, 현대 한국 사회, 경제 관련
  강좌. KAIST와의 연계로 이중 학위 프로그램 가능.

- **특징**: 한국의 여러 대학과 교환학생 협정 체결.

교환학생 프로그램 한국대학 리스트


#### **Ateneo de Manila University**

- **프로그램**: School of Humanities에서 **한국어
  선택 과목** 제공.

- **커리큘럼**: 초급 회화 및 문화 이해 위주. K-pop,
  K-drama를 활용한 문화 강의 포함.

- **특징**: 한국문화원(KCC)과 연계한 현장 학습 기회
  제공.

아테네오에서 열린 KPOP 아카데미


#### **Far Eastern University (FEU)**

- **프로그램**: Korean Language and Culture
  Program (KLCP).

- **커리큘럼**: 3년제 과정으로 한글, 문법, 번역, 비즈
  니스 한국어 강의. 서울여자대학교와 협력해 연수 프
  로그램 운영.

- **특징**: 졸업생 대다수가 한국 기업 또는 통역/번역
  분야에서 활동.

한국행 국제교류 프로그램


#### **Polytechnic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UP)**

- **프로그램**: Asian Studies 학부 내 한국어 전공.

- **커리큘럼**: 한국어, 역사, 문학 외에도 디지털 미디
  어 활용한 현대 한국 문화 수업.

- **특징**: 필리핀 정부의 KGSP(한국 정부 초청 장학
  금) 수혜자 다수 배출.

Zoom으로 강의하는 어학원 교수들


### 2. **효과성 분석**

#### **교수진 및 교육 방식**

- **강사진**: 대부분의 대학이 한국인 강사와 필리핀인 한국학 전공자를 혼합하여 채용. UP Diliman과 FEU는 한국문화원과 협력해 강사 파견 받음.

한국 문화원 주최 현지인 강사 교육


- **수업 방식**:

  - **문화 통합 교육**: K-pop, 드라마, 음식 등을 활용한
    흥미 유발.

  - **실용 언어 능력 강조**: 역할극, 발표, 현지 한국 기
    업과의 인턴십 연계.

  - **기술 활용**: 온라인 플랫폼(예: Edmodo,
    Zoom)을 통한 원격 수업 및 TOPIK 모의고사 제공.

아테네오 한국어 온라인 강좌


#### **학생 성과 및 취업**

- **TOPIK (한국어 능력시험)성적**: UP Diliman과
  FEU 학생들은 평균 TOPIK 3~4급 달성률이 70%
  이상.

- **취업 분야**:

  - 한국 기업(예: Samsung, Hyundai)의 현지 지사에서
    통역/행정 직무.
  - 교육 분야: 한국어 강사, KF 재단 프로젝트 참여.
  - 정부 및 NGO: 외교관, 국제 협력 전문가.

#### **교류 및 장학금**

- **교환학생**: 대부분의 대학이 연세대, 고려대 등과 교환 프로그램 운영. FEU는 매년 10명 이상의 학생을 한국으로 파견.

- **장학금**: KF, 대한민국 교육부 장학금 외에 대학 자체 지원금 제공 (예: DLSU의 "Korean Dream Scholarship").

Scholarship 홍보사진



### 3. **도전 과제 및 개선 방향**

- **도전 과제**:

  - **고급 과정 부족**: 중급까지만 개설된 경우가 많아
    전문 언어 능력 개발 한계.

  - **지역적 편중**: 마닐라 지역 대학에 집중되어 있어
    지방 학생 접근성 낮음.

  - **재정 지원 제한**: 일부 대학은 장비 및 교재 개발에
    어려움.

온라인 한국어 수업_마닐라


- **개선 방안**:

  - **온라인 강좌 확대**: Coursera, edX와 연계한 무료
    한국어 콘텐츠 제공.

  - **산업 연계**: 한국 기업과 협약을 통한 실무 중심
    교육 강화.

  - **지역 확대**: 세부, 다바오 지역 대학에 한국어 센터
    설립 추진.

COURSERA 유료 한국어 강좌



### 4. **결론**

필리핀 대학의 한국어 강좌는 Hallyu 확산과 맞물려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용적 언어 능력과 문화 이해를 결합한 교육 모델이 강점입니다. 특히 UP Diliman과 FEU는 체계적인 커리큘럼과 해외 연계를 통해 높은 효과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급 과정 확대와 지역 균형 발전이 향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반응형
LIST